[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청소년기 손자녀를 둔 저소득 조손가정을 위한 조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정은미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2010.06 5 - 21(17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청소년기 손자녀를 둔 저소득 조손가정을 위한 조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시 함으로 조부모양육역할에 대한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청소년 손자녀에 대한 이해와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기 손자녀를 둔 조모 7명을 대상으로 120분씩 총 6회기에 걸쳐서 프로그램과 1회의 추수모임을 실시하였고, 각 참여자들의 행동관찰기록을 통해 회기별 프로그램 과정 양상과 개인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회기별 프로그램 과정 양상은 회기가 지나면서 집단 응집력이 강하게 형성되고 참여자들이 자기노출, 공감, 문제해결에 대한 협력적인 자세로 적극적인 참여를 보였으며 이 과정에서 조부모양육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개인별 변화는 조부모 자신과 손자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문제의 원인을 외부에 두기 보다는 자신이 변화해야 한다는 주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손자녀가 청소년기이기 때문에 보여지는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손자녀와의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 갈등해결방법에 대한 인식과 기술이 증진되었다.본 연구의 의의는 조손가정을 위한 조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함에 있어서 손자녀의 발달단계를 고려함으로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코칭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손자녀 양육에 필요한 양육기술을 습득시켰으며, 조손가정이 갖고 있는 잠재력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NO.1 |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아시아계 어머니가 양육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박경애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2010.06 23 - 44(22 pages) 국문초록최근 우리사회는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인해 그 자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 공교육에 진입했을 때 그들이 갖는 이중문화의 가정환경은 다른 아동에 비해 발달적, 교육적 측면의 어려움과 성장발달과정에서 필수적인 대인관계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아시아계 어머니가 양육하는 다문화가정 고학년 자녀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잠정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시아계 어머니가 양육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제와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탐색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여 잠정적인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집단상담의 형태로 총 10회기로 구성하였으며, 한 회기당 50분 진행되는데, 각 회기별 나와 가족, 친구 및 문화에 대한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밀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 그리고 관계 등의 내용이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아시아계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 고학년 자녀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한 것으로 다양한 세팅의 다문화가정과 관련된 사회복지 실천가들로 하여금 현장에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NO.2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 개발 : 양육효능감 증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정미현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2010.06 45 - 58(14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최형성· 정옥분이 제작한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로의 수정작업과 수정된 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양육지식,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다섯 가지 하위척도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이 척도가 매우 타당성 있는 척도로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고 양육효능감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NO.3 |
에니어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동기부여방안김수현;이소희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2010.06 59 - 81(23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로 학습동기부여를 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5번유형아동, 스스로 만족할 수 있게 해주고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논문 제출일 : 2010. 4. 14. 최종 심사일 : 2010. 6. 12. * 이 논문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일부 요약한 것임. ** 한국펄벅재단 사회복지사, 주저자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 Kim, Su-Hyun, Dept. of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Jungwook Bd 4F, 675 Simgokbon-dong, sosa-gu, Bucheon-si, Gyeonggi-do, Korea, 422-841. E-mail : manysu@nate.com 6번유형아동, 이들이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두려움을 갖고 있다. 7번유형아동, 부모님이나 또래 관계에 의존하기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의지가 강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2번유형아동, 자신감을 갖도록 해주는 것과 얼마든지 자신을 지지해줄 것이라는 확신이 중요하다. 3번유형아동, 이들에게는 이러한 특성들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격려와 꼭 이기는 것만이 유능한 것이 아님을 상기시켜 바른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4번유형인아동, 지금은 잘 못해도 반드시 할 수 있다는 믿음과 물질적 지지 등이 특별한 아동을 움직이는 힘이라고 할 수 있겠다. 8번유형아동, 이들을 통제하려하기 보다는 이들이 과도하게 에너지를 쏟지 않도록 조절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9번유형아동, 고민하는 상황때문에 다른일까지 그르치지 않도록 지도해 주는것이 필요하다. 1번유형아동, 실수해도 괜찮다는 메시지와 열심히 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메시지가 이들의 긴장감을 줄여줄 것이다. 그러나 이들에게 던지는 긍정적인 메시지는 반드시 근거를 포함하고 있어야 수긍할 수 있을 것이다. |
NO.4 |
성경에 나타난 부모리더십에 관한 탐색연구장재은;이소희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2010.06 83 - 109(27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성경을 통해 부모리더십을 탐색하여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부모로 하여금 성경을 바탕으로 나타내어지는 여러 가지 사례에서 부모리더십의 내용을 분석하고 적용하여 건강한 가정을 세우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성경에 나타난 모든 부모의 사례를 선별하였고, 선별된 사례를 2차적으로 윤지영(2008)의 ‘부모리더십 척도’의 구인을 분석기준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3가지 차원으로 나눈 후 각각의 9개의 하위요인으로 분석되지 못한 특성들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제시하고 기술하였다.첫째로 역할 지향적 차원으로는 하나님께 받은 언약을 성취함으로 자녀의 앞길을 예비하는 ‘언약성취’, 자녀를 위해 기도함으로 자녀를 하나님의 방법대로 양육하는 ‘중보기도’, 하나님께서 예비하신 것을 분별하여 축복가운데 거하는 ‘영적 분별력’이다. 둘째로, 관계 지향적인 차원으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영적인 필요를 채워주려고 노력하는 ‘영적공급’, 하나님 앞에 올바르지 않은 자녀에 대해 영적인 훈계를 하는 과정인 ‘영적권고’, 부모가 하나님과 자녀 사이의 축복의 매개체가 되는 ‘축복의 통로’이다. 셋째로, 과업 지향적 차원으로는 하나님께서 자녀에게 주신 비전을 찾기 위해 영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열정과 최선의 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영적몰입’, 자녀의 비전이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공헌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으는 과정인 ‘건설적 합력’이다. 본 연구 결과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론적으로는 부모리더십을 성경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고, 현대적인관점에서의 부모리더십 구인과 성경에서 나타난 구인들을 연결하여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이론은 다양한 특성의 가족을 대상으로 부모리더십을 연구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부모양육과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만 국한되어있던 관점에서 더 확장되어 부모의 리더십이라는 새로운 개념과 관점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성경이라는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 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 융통성과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적인 측면으로는 유아기관이나 복지 및 상담 기관의 다양한 부모리더십 프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