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의 언어표현력과의 관계 연구

박다은(Park, Da-Eun);도미향(Do, Mi-Hya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2019.12 5 - 17(1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와 어머니 각각 154명이고, 어머니의 코칭역량에 대한 설문지는 대상 유아의 어머니가 직접 평가하였고,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대한 설문지는 유아의 담임교사가 질문하고 유아가 응답하는 내용을 통해 평가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의 언어표현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 언어표현력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유아 언어표현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의 언어표현력 하위 요인 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의사소통역량과 유아의 사용 단어 수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 언어표현력 간에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NO.1
양육효능감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

정미현(Jung, Mi-Hyu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2019.12 19 - 36(18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결정적 요인인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 행복하고 건강한 가족을 지원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요구도 조사를 하였으며, 요구도 조사를 위해 아동학 전공교수 3명, 아동학전공 박사 5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30명을 대상으로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았다. 면접을 통해 요구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본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프로그램은 총 8회로 성취경험에 근거한 활동 10개, 대리경험에 근거한 활동 8개, 언어적 지지에 근거한 활동 6개, 생리정서적상태에 근거한 활동 8개의 총 32개의 활동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모든 활동은 각 회기마다 독립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양육효능감의 인지적 변인 중의 하나로서 양육지식이란 개념이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양육효능감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서는 양육지식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NO.2
국공립 어린이집 부모의 요구와 운영개선 방안연구

임순선(Lim, Sun-sun);조경희(Cho, Kyung-h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2019.12 37 - 51(15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의 국공립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성동구, 경기 남양주, 제주 구좌읍에 거주하는 국공립어린이집 부모 각 50명씩 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어린이집 운영에서 반 구성, 시설의 문제, 교재교구, 실외놀이, 시설 규모, 주변 환경, 위치, 등하원 방법등의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보육 프로그램으로는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인적환경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어린이집운영, 보육프로그램, 인적환경의 요구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을 하여 부모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반 구성은 동일 연령반을 선호하고 국공립 40%확충을 기대하며 보육료현실화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는 안전관리 부분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부모들의 개인적 성취도와 발전을 위한 시간적 배려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하였다.
NO.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중학생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유경진(Kyung-Jin Yu);김응자(Eung-Ja Kim)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2019.12 53 - 65(1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적, 신체적인 발달 및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과도기적 시기를 겪고 있는 중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환경 변인 중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중학생의 정서지능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5개교의 1학년, 2학년 학생 352명의 설문지를 ANOVA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의사소통에서 개방형 의사소통은 모가 부보다 높게 나타났고, 문제형 의사소통은 부와 모의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자녀가 부모와 대화를 할 때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 좀 더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중학생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의 ‘정서활용’과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의 ‘정서조절’과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요인 간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부모님의 의사소통 유형은 중학생 자녀의 정서지능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는 자녀와 소통을 할 때 지시하고, 판단하고, 억압하는 문제형 의사소통을 하기보다는 자녀의 생각을 존중하고, 지지하고, 긍정적으로 받아 들여주는 개방형 의사소통을 하는것이 중요하며 부모-자녀 대화법과 같은 개방형 의사소통 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