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이 유아코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갑순;김승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2023.03 5 - 24 (20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고 예측 변인들이 유아코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지역에 있는 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간 일치도(Cronbach ) 계수를 산출하였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 유아코딩교육 인식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이 유아코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코딩교육 인식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문성과 코딩교육 인식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 중 직업윤리와 사회봉사가 유아코딩교육 인식에 대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는 하위요인 중 필요성 인식과 교육환경 인식에는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직업윤리가 유일하게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지만 수업내용 인식과 수업 운영 인식에는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직업윤리와 사회봉사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1
유아 교사의 놀이신념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홍혜정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2023.03 25 - 46 (22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사의 놀이 신념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연구되었다. 연구 방법은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 교사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계수로 산출 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역량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놀이신념은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놀이신념은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내용 중에서 지식 측면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유아에 대한 교육정책과 유아놀이중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NO.2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도미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2023.03 47 - 67 (21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전문성, 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준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방안을 모색하여 유아와의 상호작용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NO.3
크리스천 어머니의 영적 성숙을 위한 떼제찬양(Taizé songs) 활용 가능성의 탐색 SOUL 코칭모델-프로그램 기반의 사례연구

정은주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2023.03 69 - 91 (2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크리스천 어머니의 영적 성숙을 위한 떼제찬양(Taizé songs) 활용 가능성을 SOUL 코칭모델-프로그램에 기반하여 탐색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은 크리스천 어머니의 영적 성숙을 위한 떼제찬양을 SOUL 코칭모델-프로그램에 통합시키는 것이었으며, KPC코치와 음악치료사인 본 연구자가 떼제찬양을 작곡하였다. 작곡한 떼제찬양 활용의 연계-적합성에 관한 검토는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검토결과 7점 척도기준에서 5.86으로 83 % 수준의 적합성을 확인받았다. 연구문제 2는 떼제찬양(Taizé songs)과 통합된 SOUL 코칭모델-프로그램의 활용효과를 파악하는 것이었으며, 2가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크리스천 장년기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개별코칭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한 결과 떼제찬양이 영성코칭을 위한 실제적 방법론으로 활용할 가치가 높음을 시사받았다. 또한 SOUL 코칭모델-프로그램을 구성한 공동 개발자 2명으로부터 찬송가와 병행되는 떼제찬양은 영성코칭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 결과, 향후 크리스천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속성을 확충하여 통계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크리스천 어머니의 영성을 위한 코칭과 함께 떼제 찬양의 통합적 효과를 다각적인 연구 차원에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