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4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갈등에 관한 연구김지현;조윤희;박성운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7.01 5 - 19(15 pages) 국문초록인간의 삶 속에서 갈등이란 필연적이며, 많은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원천이 되고 있다. 발달단계 중 청소년기는 가족관계 특히 부모 및 또래관계 등에서 흔히 갈등을 경험하게 되며 오래 지속되는 친숙한 관계에서도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한편 갈등이 은폐되어 있거나 자주 폭발적으로 나타나는 인간관계는 지속적인 친밀한 관계 유지가 어렵다(Rubenstein & Feldman, 1993).청소년기는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로 표현하고 있듯이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내적 갈등이 많은 시기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에는 과도한 입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동시에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과도기이며 부모와의 관계를 재조직화하는 기간이다. 이 기간에는 대부분의 자녀와 부모가 잘 지낼 때조차 서로 갈등이나 불일치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는데 ‘중요한 문제 뿐 아니라 일상적 일에 관한 것’(Smetana, 1989)이라는 보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모 자녀 사이에 이러한 갈등은 불가피하다고 하겠다. |
NO.1 |
교사-유아간 애착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홍계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7.01 21 - 37(17 pages) |
NO.2 |
대학생의 노부모부양의무감과 치매에 대한 태도김애희;박인전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7.01 39 - 60(22 pages) 국문초록애착은 ‘인간 자신을 돌보는 주양육자에 대하여 형성하는 강하고도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이다. 애착은 또한 영유아가 양육자와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내재화하면서 형성하는 지속적인 관계이며, 애착을 통해 사회적 환경에 대한 기본적 신뢰와 안정감을 발달시킨다는 점에 대해서는 일관된 견해들이 있다.유아가 발달함에 따라 애착도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그 본질이나 지속성에서 크게 변함이 없을 것이며, 사회적 환경과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 애착안정성은 유아의 인지, 사회․정서 발달 등에 영향을 미친다(Crittenden, 1992)고 보고되고 있다. |
NO.3 |
몬테소리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황윤경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7.01 61 - 85(25 pages) 국문초록교육은 교육 그 자체보다는 항상 사회적 요인과 함께 패러다임 변화의 의미와 결부될 때 더욱 발전하게 된다. 20세기 초반, 교육개혁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맥을 같이 하는 몬테소리 교육은 1907년 당시 맞벌이 부부를 위하여 설립된 로마의 빈민촌 산 로렌죠(San Lorenzo) 어린이집(Casadei Bambini)에서 몬테소리가 어린이들과의 경험을 소개한 <과학적 교육학의 방법론>이라는 책이 1909년 출판되면서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전통적 유아교육의 대안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서석남, 2006: 32). |
NO.4 |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최외선;제석봉;이경미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7.01 87 - 108(22 pages) 국문초록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1980년 이래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여 왔다. 통계청자료에 의하면 1970년에 30%를 차지했던 여성의 노동참여가 2000년에는 48.8%, 2002년에는 49.8%, 2005년에는 50.1%로 꾸준히 증대되었다(통계청 2000~2006).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연령별로 살펴보면, 20~29세에 63.7%를 보이다가, 결혼과 출산을 하는 30~39세에 56.2%로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40~49세에 64.5%로 다시 참여율이 높아져 M자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통계청 2003). 이같은 취업여성의 증가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되는데, 이를테면 대학교육을 받거나 훈련기술이 있는 여성의 증가,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일의 증가, 성역할 평등에 대한 인식의 증가, 여성운동, 그리고 정부의 고용차별 금지정책 등을 들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젊은 여성들이 맞벌이 형태의 가정을 원하고 있으며, 결혼과 일, 그리고 부모 역할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 형태를 취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