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2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대학생의 부모-자녀 관계와 심리적 독립에 대한 연구송순;박효인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2호 2006.01 5 - 25(21 pages) 국문초록청년기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청소년 후기의 개인적 적응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로서 중요한 발달적 과업이다. 유아기에 일어나는 첫 번째 심리적 독립이 어머니로부터 신체적으로 분리 독립된 존재라는 감각을 터득하는 시기라면 청소년 후기에 일어나는 두 번째 독립은 심리적 분리와 개별화로서 인간의 자아발달에 있어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Blos, 1979). 유아기 독립은 유아와 어머니간의 격렬한 정서적 관계의 맥락에서 자신을 분리된 존재로 인식하면서 유아의 자아경계선이 뚜렷해지며 어머니에게 정서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점차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Mahler, Pine, & Bergman, 1975). 아동기 동안 부모-아동 관계 특성이 내면화되고 청소년기에 2차 성징의 발달과 더불어 청소년기 심리발달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된다(홍강의, 1984). 즉 청소년기에는 아동기의 부모상을 거부하고 그들 자신의 규칙에 복종하고 그들 자신과 부모와 관계를 독립된 개인으로 규정하기 시작한다. 부모자녀관계의 재 정의는 아동기 정체성을 벗어나 새로운 정체성 형성을 수월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시기에 청소년은 독립성에 대해 양가적 감정이 청소년기 부모-자녀 관계를 갈등적으로 보이게 하고(Kroger, 1985)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관계는 조화와 애착보다는 갈등과 분리가 정상적인 가족생활의 특징인 것처럼 자리한다(Steinberg, 1990). |
NO.1 |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박인전;최외선;김애희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2호 2006.01 27 - 49(23 pages) 국문초록현대사회는 인간의 평균수명연장으로 인해 노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의 인구가 2000년 7.2%가 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14.3%가 될 전망이고, 2026년에는 20.8%로 도달하여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05).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건강, 소득원, 여가활동, 사회적 역할 등 크게 4가지가 있으며(조현오, 2000), 세계 유례없는 수준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노인과 그 부양가족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건강이라 하겠다. |
NO.2 |
부모교육사 기초연구 : 고등학생의 부모역할 기대조승희;강경화;도희숙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2호 2006.01 51 - 67(17 pages) 국문초록청소년기는 빠른 신체적 성장과 성적인 발달, 교우 관계망의 실질적인 확장, 인지 능력의 증대 등을 포함하는 놀랄만한 변화를 수반하는 시기이며(Jaffe, 1998; Pestrak & Martin, 1985), 발달과업에 대응할 수 있는 개인적인 상황과 확대된 다양한 사회적인 상황에서 역할을 시도하면서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시기이다. 정체감 형성은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것도 끝나는 것도 아니며, 자아통합과 재통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면서 점진적으로 형성되며(Erickson, 1959), 사회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자기의 확장된 개념으로서 개인과 그가 속한 사회의 역할규정, 금기, 가능성 간의 교차점에서 파생된 유기적인 심리적 구조이기도 하다(Erickson, 1968). |
NO.3 |
부모 자녀관계 코칭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도미향;채경선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2호 2006.01 69 - 89(21 pages) 국문초록부모-자녀관계는 혈연적 관계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가장 중요한 교육적 관계가 형성되는 문화적 관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자녀교육관을 가지고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부모의 개입시기와 그 역할의 유형과 강도를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주는 개인 심리적, 사회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들은 무척 많기 때문이다. 또한 부모이기 때문에 자녀의 삶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생각도 바람직한 자녀교육관이 아니다. 자녀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기 때문이다(오영재, 2004).따라서 최근에 많은 전문가들이 부모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다. 또한 가족 내에서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 즉, 10대 부모들의 증가, 가족들의 생계를 꾸려가는 사람이 엄마 쪽에서 나오기 시작하고 또한 부모들이 부모행동에 전념하는 시간량의 감소, 그리고 부모-자녀관계에 대하여 널리 퍼져있는 많은 부적절한 이야기 등이 작용했기 때문이다(Hamner & Turner, 2001). |
NO.4 |
학생상담자원봉사가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황정향;김현자;최외선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3권 제2호 2006.01 91 - 112(22 pages) 국문초록오늘날 현대인들은 사회구조, 가치관, 의식체계가 급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현 시대에서는 각 발달 영역별 역할에 개인의 기능이 다방면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각 발달단계별로 자신들의 정체성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 중에 청소년기나 중년기는 한 가정 내에서 과도기적 변화를 같이 경험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중년기의 기혼 여성들 중 사회생활 경험이 없는 경우는 가정이란 울타리 안에서의 생활에 익숙한 상태이고 자녀의 나이는 청소년기란 특성을 가진 시기와 맞물려 있다. 이 시기의 주부들은 부모로서 겪는 다양한 변화의 위기, 즉 자녀들이 심리적 독립을 요구하기도 하고 가족으로부터의 심리, 정서적 유대 약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 때 심리적, 신체적으로 변화를 경험하며 자아를 재평가해 보기도 하며 자녀관계, 부부관계 등 가정생활에 적응하면서도 때로는 정서적 혼돈과 갈등을 겪고 위기에 처하기도 한다(송명자, 1995). 이런 단계를 거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되돌아보며 새로운 사회활동참여를 위하여 취미, 부업, 운동, 봉사활동 등을 통한 사회, 집단속으로 활동영역을 넓히려 하고 자신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는데 그러한 활동의 하나로 봉사활동이 한 방편이 되고 있다(김인영, 2000; 안재숙, 1998; 이선희, 2001; 홍승혜, 1995; Schindler-Lippitt, 19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