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지한 가족기능연구

홍달아기;이남주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11.06 5 - 23(19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파악하여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을 밝히기 위한 기초조사연구이다. 4, 5, 6학년의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222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 본인의 주관적인 인식이 긍정적인 경우 즉,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학업성적이 좋다고 지각하고, 경제적으로 잘산다고 지각한 경우는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원이 다양하고 많은 확대가족의 경우 정서적 친밀감과 가족 결속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긍정적인 사고와 가족 간의 다양한 정서적 관계가 가족기능을 좋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가족기능에 있어서 평균값에 의한 결과는 응집성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나 초등학생의 연령을 고려할 때 가족 간의 친밀성이나 정서적지지, 결속에 보다 민감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서적인 측면은 가족을 통해서만 충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아동에게 가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가족기능의 차이를 통한 분석에서는 학년, 주관적 학업성적과 경제수준의 변인이 응집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적인 능력과 자신감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적응성은 주관적 건강상태, 거주지역, 가족유형 등의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아동이 건강하고 환경이 다양할수록 가족기능을 적응성과 융통성이 있는 체계로 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NO.1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평가

강희경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11.06 25 - 43(19 pages)

국문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and the self-evaluation of
school-aged children. The Social Supports Scale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 social supports from family, friends and teachers. The subjects were 397 school-aged childre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was generally high, with the highest level being from family. Second, the level of self-evaluation was also generally high. Finally, all supports from family, friends and teacher had positive influences on self-evalua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ocial support from friend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NO.2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이 성지식과 성폭력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경주;도미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11.06 45 - 67(2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에서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유아들의 성지식과 성폭력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4세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주 1회 20분씩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을 8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후 성지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후 성폭력 대처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성지식과 성폭력 대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성교육이 보육시설과 보육교사에게 바람직한 유아 성교육 방법의 하나로서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3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 척도개발

정미현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11.06 69 - 85(17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척도개발과 이에 대한 타당화 연구이다. 양육지식척도 개발연구는 Huang et al(2005)이 제작한 영아기 양육지식척도인 KIDI(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를 본 연구자가 제작자의 동의하에 번안하여 우리나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을 측정하기에 적절하게 수정하였고 수정된 척도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KCDI,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은 연령별 발달에 따른 지식, 발달촉진과 유아기 경험에 대한 지식, 바람직한 양육방식과 훈육에 대한 지식, 개인차 및 발달원리에 대한 지식 등 4가지 하위척도로 나타났다.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Varimax 회전방
식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간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양육효능감과 양육지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매우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의의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 척도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매우 타당한 척도로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양육지식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