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에 대하여...

profile_image
관리자
2021-08-22 18:17 155 0

본문


박신후 (우송대학교 IT융합학부 교수) 2021.06.04

피드백은 “과거 행동에 대한 정보를,  지금 현재 전달하여,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 으로 정의된다. 즉 피드백은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피드백은 대상이 한 것과 하지않은 것에 대하여 의식적(혹은 무의식적으로) 반응하고, 상대는 피드백(반응)을 보고 다음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피드백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입장이다.
우선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받는 사람의 행동의  특정한 부분만 인지할 뿐이다. 따라서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피드백을 줄 수 없다. 이로 인해 많은 경우 행동의 전, 후 맥락은 잘리고 특정 부분만 보게되고 여기에 자신의 의미와 해석을 부여하여 피드백이 전달되어 불필요한 충돌이 생기기도 한다.

피드백을 주는 방식 또한 전적으로 주는사람에게 달려있다. 주는 사람의 스타일, 언어는 물론이고, 받는 사람과 무관한 본인의 감정까지 실려 전달된다. 즉 그 순간 주는 사람의 상태에 따라 전달방식이 달라진다.

받는 사람은 주는 사람의 감정을 미리 알 수 없어 때로는 혼란스럽기도 하며, 받는 사람 역시  피드백을 주는 사람과 관련 없는 자신의 감정으로 인해 상대의 피드백을 왜곡해서 받아들이기도 한다.
(What Did You Say? The Art of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Charles N seashore외, 1992)

우리는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녀에게 매일 엄청난 피드백을 한다. 그러나 때때로 부모들은,
먼저 시비를 건 동생의 모습을 보지 못한 채, 동생을 윽박지르는 형의 모습만 보고 반응을 하기도 하고, 학교에서 일어난 일을 알지 못한 채 퉁명스럽게 대답하는 아이의 모습에 반응한다. 그런가 하면 엄마의 오전에 통화한 친구와의 불편한 대화를 알지 못하는 아이는 저녁식사 후 TV를 보는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공부를 그렇게 해서 원하는 일을 할 수 없다”는 엄마의 날카로운 반응을 이해할 수 없다.

피드백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긍정적 피드백은 3배의 성과를 가져오지만 부정적 피드백은 좌절을 가져오고, 피드백이 없는 무관심은 존재의 무시로 여겨저서 극심한 고통을 야기시킨다.
그렇기에 부모의 피드백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1. 우선 즉각적 반응 보다는 전,후, 문맥을 파악하여 부모가 인지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2. 얻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언어와 스타일을 가져야 한다. i-message를 활용하고, 코칭 피드백 처럼 잘한점을 먼저 얘기한 뒤 변화가 필요한 부분을 얘기하는 패턴도 좋은 방법이 된다.
3. 특히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정의 발산은 피드백을 통해 다음행동을 영향을 주려는 의도와 무관하게 부정적 피드백으로 흘러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원래의 목적은 사라지고 감정만 남게되며, 원하는 것과는 반대의 결과를 만들게 된다.


돌아보기:
자녀에 대한 나의 피드백 스타일은 어떠한가?
- 전 후 상황을 파악하는가?
- 긍정적 피드백인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